상대를 조종(조작. 操作)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상대를 조종(조작. 操作)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by 소식쟁이2 2023. 9. 21.

상대를 조종(조작. 操作)한다는 것은 어떤 것인가?

"당신은 사람을 조종(조작. 操作)하려고 한다"는 발언은 상대방에게 대한 비판이 되듯이, "사람을 조정(操作)한다"는 것은 나쁜 것이라고 생각하게 된다. 그렇다면 왜 조종(操作)하는 것이 나쁜 것으로 간주되는지, 그리고 "다른 사람을 조종(操作)하는 사람"을 구분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중앙미시간대학의 철학 교수 Robert Noggle이 정리한 내용이다. 


다른 사람을 조종하는 것의 예 중 하나로 '가스라이팅(Gaslight)'이라는 심리적 학대를 들 수 있다. 가스라이팅이란 단어는 영화 가스라이팅(Gaslight)에서 유래한 것이다. 가스라이팅(Gaslight)은 한 부부의 이야기에서 남편이 아내에게 건망증과 도벽이 두드러진다고 지적하는 등 정신적으로 몰아붙여 아내가 스스로 자기정신상태를 의심하도록 만든다. 

또 말보로를 카우보이 차림의 '말보로맨'과 연결시키는 광고나 프라이드 치킨은 몸에 좋다는 광고 등 사실과 다른 것을 시청자에게 믿게 하는 광고도 '조종(조작)'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다. 이 광고들은 거짓말을 사람이 가진 욕망이나 공포와 같은 감정과 겹쳐 놓음으로써 상대방의 행동을 조종하는 것이다. 

가스라이팅이나 광고에 공통되는 것은 조종된 사람이 상처를 받는다. 가스라이팅(Gaslight)으로 조작된 아내는 자신이 지적받은 것을 '실패'라고 생각하며 죄책감을 갖고, 남편이 원하는 대로 행동하려고 무엇이든 남편의 허락을 받으려 하게 된다. 또한 담배나 프라이드 치킨은 계속 섭취하는 것은 본인의 건강이 해로울 수 있다. 

다만, '타인을 조종하는 것'이 반드시 사람에게 상처를 주는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떤 여성이 남편으로부터 학대를 받고 있었다고 하자. 여자는 남편 곁에서 도망치지만 그 후에 남편 곁으로 돌아가자고 생각한다. 
이 여성의 몸을 보호하기 위해 실제로는 남편이 바람을 피우지 않았음에도 여성의 친구가 당신 남편은 바람을 피우고 있다고 거짓말을 할 경우, 그 친구는 여성이 남편에 대해 분노를 품도록 조종한 것이 된다. 그러나 이 친구의 행동을 남을 조종하고 있다며 비난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사람이 상처받는 것」이 반드시 「조종」의 판단기준이 되지 않는다면, 다음으로 생각해야 할 것은 「부도덕한 방법으로 타인을 취급하는 것」이 문제가 될 것이다. 임마누엘 칸트는 사람은 사람을 물건처럼 대할 것이 아니라 이성 있는 존재로 대해야 한다고 설파했다. 
칸트의 생각으로는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주는 유일한 적절한 방법은 합리적 설득에 있다. 즉, 합리적인 설득 이외에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줄 경우, 그것은 '부도덕'한 것이 된다. 다만 이 생각을 따르면 친절함에 기반한 수많은 행동이 부도덕하다고 비난받아 '조종'으로 간주하게 된다. 

다시 가스라이팅에 대해 생각해 보면 조종(조작)하는 쪽 남편은 아내가 스스로 올바른 판단을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분노에 사로잡힌 친구에게 「즉시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침착하게 된 후에 결정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하는 것은, 「조종(조작)」이라고는 말할 수 없다. 
학대를 하는 남편이, 「남편을 의심하는 것」에 대해 아내가 죄책감을 갖게 하는 것은, 엉뚱한 죄책감을 갖게 하려고 하고 있는 점에 있어 「조종(조작)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러나 도움이 필요한 친구를 버린 것에 대해 상대에게 죄책감을 갖게 하는 것은 조종(조작)하고 있다고 판단되기 어려울 수도 있다. 

이것을 바탕으로 말할 수 있는 것은, 조종(조작)은 타인으로부터 「올바른 판단」을 하기 위한 능력을 빼앗는 것이다. 사람의 행동이 조종(조작)인지 조종(조작)이 아닌지는 상대방이 생각하고 있는 것, 느끼고 있는 것에 대해 상대방의 판단을 잘못하게 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종종 칸트가 말하는 '합리적 설득' 이외의 방법으로 누군가를 감화시키고 있다. 「조종(조작)」도 감화의 하나이지만, 사람의 행동이 조종(조작)인지 아닌지는, 「타인이 스스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하는지」가 문제가 된다고 Nogle 교수는 말한다. 즉, 누군가의 행동이 조종(조작)인지를 판별하기 위해서는, 그 사람이 어떠한 의도로 상대를 감화시킬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How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persuasion and manipulation | Aeon Ideas
https://aeon.co/ideas/how-to-tell-the-difference-between-persuasion-and-manipulation

 

How to tell the difference between persuasion and manipulation | Aeon Ideas

We influence each other in many ways besides pure reason. What’s the moral difference between persuasion and manipulation?

aeon.co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