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핏에게 배워라! 본질을 파악하고 시간을 자기편에 두는 투자 기술
만약 워런 버핏(Warren Buffett)의 투자회사인 버크셔 해서웨이(Berkshire Hathaway)를 나름대로 구축할 수 있다면 어떨까? 버크셔 해서웨이 같은 거대한 조직이라는 뜻이 아니라 뛰어난 사업을 수십 년에 걸쳐 소유한다는 실적 있는 투자접근법을 구축하는 것이다.
높은 빈도의 거래가 시장을 석권하고 주식의 평균 보유 기간이 몇 달 사이로 단축된 현재, 이 접근법은 시대에 뒤떨어져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워런 버핏부터 존 싱글턴, 켄 피셔에 이르기까지 시장에서 가장 성공적인 투자자들은 트레이더라기보다는 기업 경영자 같은 사고를 통해 영속적인 부(富)를 쌓아왔다.
많은 투자가가 인덱스 펀드나, 주식 60%·채권 40%의 전통적인 「60·40 포트폴리오」를 선택하는 것이 많지만, 워렌 버핏류의 접근에는 수백만명의 투자자에게 도움이 되어 온 실적이 있다.
■ 성공의 토대-본질적 가치의 이해(The Cornerstone: Understanding Intrinsic Value)
영속적인 투자 성공의 기초는 기업의 본질적 가치, 즉 미래의 현금흐름에 기초하여 계산되는 진정한 가치를 파악하는 데 있다. 이는 기본적인 의문에서 비롯된다. 이 기업의 경쟁 우위는 수십 년이나 지속될 것인가? 고객은 그 기업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계속 충실할 것인가? 버핏의 유명한 말에 있듯이, 바보라도 경영할 수 있는 단순한 비즈니스가 바람직하다.
피터 린치(Peter Lynch)가 말한 "보통 사람들은 주식 투자보다 오븐토스터 구매 조사에 더 많은 시간을 보낸다"는 말은 지금도 뼈아프게 정곡을 찌르고 있다. 무엇을 소유하고 왜 그것을 소유하는지 안다는 그의 격언은 단순한 지혜가 아니라 진지하게 부를 쌓기 위한 필수조건인 것이다.
■계속 보유 하는 힘(The Mathematics of Concentrated Returns)
찰리 멍거(Charlie Munger)의 복리 운용의 첫 번째 규칙은 불필요하게 그것을 중단하지 않는 것이라는 통찰은 중요한 진실을 보여준다. 투자자들에게 정말 어려운 것은 희귀한 기업을 가늠하는 것이 아니라 시장이 흔들리거나 부정적인 기사 등이 나와도 그 기업의 주식을 계속 보유하는 신념을 유지하는 것이다.
• 시간 - 간과되어 온 강점(Time: The Overlooked Edge)
시장에서는 통상, 3개월이나 3년 단위로 이벤트를 반영하여 평가한다. 그러나 그것은 수십 년 단위로 생각하는 것을 마다하지 않는 인내심 있는 투자자에게 기회를 만들어 준다. 버핏의 대표적인 투자처인 코카 콜라를 생각해 보자. 그 주식에서 나오 부(富)는, 정확한 투자 타이밍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 아니고, 이 회사가 수십년에 걸쳐 세계적으로 사업을 확대하고, 소비자의 기호가 변화하는 가운데서도, 그 주식을 계속 보유하고 있는 것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 투자기법을 구축하다(Architecting Your Investment Vehicle)
버핏 스타일의 포트폴리오를 구축하려면 근본적인 시각 전환이 필요하다.
첫째, 주식을 실제 비즈니스의 일부로 생각한다. 가장 매력적인 투자기회는 창업자도 주식을 소유하고 있으며, 장기적인 관점을 가진 주주와 이해가 일치하는 기업에서 생겨나는 경우가 많다.
둘째, 자신이 이해할 수 있는 사업에만 집중한다. 그 기업의 경쟁우위나 비즈니스 모델을 한 문장으로 설명할 수 없다면 더 단순한 기업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
셋째, 높은 확신이 드는 아이디어에 대해 집중적으로 포트폴리오에 넣는다. 분산투자는 무지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이지만, 집중투자는 투자처의 기업에 대한 깊은 이해도와 결합돼 큰 부(富)를 낳는다.
넷째, 분기 단위가 아니라 수십 년 단위로 생각한다. 단기적인 시장의 움직임은 소음(noise)이며, 장기적인 실적이야말로 신호(signal)이다.
다섯째, 충분한 현금 보유을 유지한다. 인내심이 강한 투자자는 다시없는 기회가 왔을 때 결단성 있게 행동하기 때문에 현금의 보유를 필요로 한다.
• 롱 게임(The Long Game)
이 접근법으로 성공하려면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측정을 해야 한다. 분기별 벤치마크에 연연할 게 아니라 사업이 만들어내는 현금흐름과 경쟁력 강화에 주목하는 것이다. 높은 수익률로 자본을 재투자하고 있다? 시장에서의 우위는 높아지고 있는가?
이 전략의 우아함은 복잡함의 뒷면에 있는 심플함에 있다. 기업을 깊이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선행투자가 필요하지만, 투자에서는 희귀한 것, 즉 시장이 단기 집중형이 됨에 따라 더 커지는 지속가능한 우위성을 제공한다.
결국 분기별로 시장을 이기는 것이 아니라 탁월한 사업을 소유함으로써 세대를 초월한 부(富)를 쌓는 것이다. 이 게임에서 인내는 단순한 미덕이 아니라 최대의 경쟁우위인 것이다.
(출처) How To Build Your Own Berkshire Hathaway Style Holding Company
https://www.forbes.com/sites/robertdaugherty/2025/02/06/how-to-build-your-own-berkshire-hathaway-style-holding-company/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론 머스크 도지(DOGE), 1센트 주화(동전)도 표적 … 1개 만드는데 3센트 든다고 주장 (31) | 2025.02.20 |
---|---|
이더리움 상승에서 암호화폐 시장 전체 하락으로 - 비트코인은 9만6000달러 아래로 떨어지다 (36) | 2025.02.19 |
천재 일론 머스크의 '상식을 벗어난 양면성'… 세계 정상에 오르는 사람이 가진 공통점 (31) | 2025.02.19 |
불법 행위를 조장하는 '다크웹(Dark Web)'이란 무엇인가? 그 비밀과 안전 대책 (20) | 2025.02.19 |
빌 게이츠(Bill Gates) 경고, 국제사회는 다음 팬데믹 대비 '전혀 준비 안 돼 있어' (26) | 2025.02.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