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이 친구라고 생각하는 사람들 중 절반은 당신을 친구로 생각하지 않는다
자신이 '우정'이라고 생각하는 관계 중 상대방도 '우정이다'라고 생각하는 관계는 약 절반이라는 것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 즉, 이 내용에 따르면 자신이 「친구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절반은 자신을 친구라고 생각하지 않고, 또 자신이 친구라고 생각하지 않는 사람 중에도 자신을 「친구다」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있다는 것이다. 왜 이러한 인식의 차이가 일어나는가, 원래 「우정」이란 무엇인가? 라는 것에 대해서 The New York Times가 정리한 내용이다.
자신이 친구라고 생각하는 사람의 절반은 자신을 친구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는 조사 결과에 대해서는 사람들의 인식과 실제 우정 사이에 있는 격차에 대해 인간은 기본적으로 낙관적이라고 주장하는 연구자가 있거나 SNS 세상에서는 친구가 되겠다는 말이 사용되고 있어 세대마다 인식의 차이가 존재하는 것 아니냐는 설을 펴는 연구자가 있어 큰 논란이 일었다.
2016년 3월에 발표된 연구에서는 비즈니스 매니지먼트 클래스를 수강하는 23세부터 38세 피험자 84명을 대상으로 서로를 '모르는 사람'부터 '친한 친구 중 한 명'까지 5단계로 평가하도록 하였다. 그 결과, 「우정이 양심이다」라고 인식하고 있는 사람이 94%인데 반해, 실제로 양심인 비율은 53%로 밝혀졌다.
같은 조사는 과거 10년에 여러 차례 이루어졌으며, 9만 2000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우정이 두터운 비율이 34~53%라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에 최근 조사와 과거 조사 결과는 일치한다는 것이다.
프린스턴대학의 철학자인 알렉산더 네하머스 교수는 "우정을 말로 설명하기 어렵고, '무엇이 우정이 아닌가'를 말하는 것이 용이하다"고 말해, 우정의 정의가 어려운 것이 이러한 인식의 차이를 낳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휴가 중 초대받는 일이나 함께 있어 지루하지 않은 일이라는 항목에 해당되면 곧바로 우정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우정은 아름다움이나 예술 같은 것과 비슷해 이익을 얻을 수 있느냐 없느냐가 아니라 자신의 깊숙이 파고들어 그 자체에 감사한다는 것이다.
한편 우정에 관한 논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데일 카네기의 'How to Win Friends and Influence People(사람을 움직인다)'이라는 것이다. 「사람을 움직인다」는 세계에서 1500만부 이상을 팔렸다는 베스트셀러이지만, 「사람을 움직이는 3원칙」 「사람이 좋아하는 6원칙」이라고 하는 것이 항목화되어 있다. 또, 저명인사 중에서도 테일러 스위프트 등은 전략적으로 「친절함」 「우정」을 도입하는 것으로 성공했다. 그리고 소셜 미디어도, 「우정」을 상품화함으로써 확대하는 것에 성공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우정의 감각이 변화하고 있다는 얘기도 있다. 바서대에서 영어를 가르치는 로널드 샤프 교수는 아무것도 하지 않고 그냥 함께 있다는 친구는 이제 잃어버린 예술이다. 사람들은 인간관계의 효율을 극대화하는 데 정신이 팔려 무엇이 우정인지를 잊고 있다고 말했다. 그리고 샤프 교수는 친구관계를 「상대방을 이해하기 위해서 시간을 할애해, 자신을 이해시키는 것에 시간을 할애할 수 있는 사람들」이라고 정의하고 있다고 한다.
진화심리학자 로빈 I.M. 댐버 교수는 "사람의 우정은 피라미드 형태로 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피라미드의 최상단에는 배우자나 친한 친구 등 일상적으로 친밀한 관계를 갖고 있는 사람이 1~2명 존재하고, 다음 층에는 강한 공감과 친밀감을 가지며 매주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이 4명 정도. 그 외의 사람들은 연결이 잘 되지 않는 좀 더 캐주얼한 관계라는 것이다.
그리고 피라미드의 상위에 위치한 사람들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정적인 교제가 필요하며, 그렇지 않으면 친구는 친근하게 대하지만 친하지 않다는 지인 수준으로 쉽게 떨어진다고 한다.
사람의 시간은 유한하고, 또 사람은 감정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가지기 때문에 강한 유대관계를 갖는 것은 5명 정도로 한정된다. 많은 사람들은 "5명 이상의 친구가 있다"고 생각하겠지만 상위 5명 이외의 사람에 대해서는 "아주 중요한 우정"이라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라고 댐버 교수는 말했다.
남에게 의지하는 것은 나약함의 표시이고, 힘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문화에서 소울메이트는 바꿀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쉽다. 그러나 우정은 본래 페이스북 프로필이나 Instagram의 피드에 투고되어 있는 것과 같은 찬란한 자기 이미지 아래에 있는 자기 자신을 상대 앞에 드러내 상대의 나약함에 대해 배려하는 성질을 가진다.
결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신뢰라는 연결고리를 강하게 할 수 있는 것이 우정인데, '결점이나 나약함을 드러낸다'는 행위는 매우 위험하기 때문에 행동에 옮기지 않는 사람도 많이 있다.
하지만 위험을 무릅쓰고 얕은 연결고리만 택하고 양심이 아닌 허망한 인간관계만 갖고 있으면 우리 몸은 영향을 받다. 과거에 행해진 연구에서는, 고독은 흡연·알코올 의존·비만등과 같이 사망률을 상승시킨다고 밝혀지고 있다.
인터넷을 통해 쉽게 사람과 연결될 수 있게 된 현대사회이지만, 외로움을 달래려면 인터넷이 아닌 사실적으로 얼굴과 얼굴을 맞댈 필요가 있는 것도 사실이다. 우정을 정의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지만, 누가 자신을 위해 시간을 내주고, 누가 자신의 기분을 풍요롭게 해주고, 누가 자신을 그리워하며, 그리고 자신이 그리워하는 것은 누구인지 다시 생각해 보는 것이 앞으로의 삶에서 매우 중요해질 것 같다.
Do Your Friends Actually Like You? - The New York Times
http://www.nytimes.com/2016/08/07/opinion/sunday/do-your-friends-actually-like-you.html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상을 습관화하여 매일의 스트레스로부터 해방시키기 위한 Tool & 가이드 Quiet Kit (0) | 2022.08.20 |
---|---|
인간관계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은 150명 정도의 범위 (0) | 2022.08.20 |
'공감'을 통해 인간관계를 잘 살리는 방법 (0) | 2022.08.20 |
당신도 들어봤을 여자가 거짓말을 할 때 써먹는 10가지 (0) | 2022.08.19 |
불행한 결혼생활을 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2.08.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