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벨평화상을 진심으로 노리는 트럼프, 우크라이나 정전 문제와 가자 문제… 트럼프의 '전략' 평가는
트럼프 행정부가 출범한 지 한 달이 지났지만,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가자 분쟁의 정전을 자신의 정치적 유산(legacy)으로서 바탕에 두고 노벨평화상에 대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는 보도가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 의욕은 순수한 평화에 대한 기여 의욕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개인적인 명예욕이나 허영심에 바탕을 둔 것일 것이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에 강한 집착을 보이는 사실은 그의 과거 언행에서 드러난다. 과거 연설과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종종 전임자인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2009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것을 거론하며, 오바마는 대통령 취임하자마자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수상했다고 비판하면서 자신이 더 구체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고 주장해왔다.
예를 들어 2019년 2월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이나 시리아에서 큰 공을 세워 노벨상을 받아도 이상하지 않지만 그들은 결코 나에게 주지 않을 것이라고 불만을 터뜨렸다. 이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상 자체에 강한 관심을 갖고 수상하지 못하는 것에 짜증을 느끼고 있음을 시사한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1기 행정부에서 아브라함 합의를 성사시킨 것을 높이 평가하고 있다. 이 합의는 이스라엘과 아랍권 사이에 오랫동안 존재해 온 적대관계를 완화하고 지역 안정에 기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2020년에 서명된 이 합의를 이유로, 그는 여러 차례 노벨평화상 후보자가 되었고, 예를 들면 미국의 클라우디아 테니 하원의원이나 노르웨이의 크리스찬 티블링-게데 의원 등이 그 공적을 기려 추천을 했다.
그러나 그에 대한 반발도 많다.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의 평화에 관한 것이 진정으로 이타적인 것이 아니고, 오히려 자기 과시욕이나 정치적 유산(legacy)의 구축에 달려 있다고 하는 견해가 뿌리깊다. 또 트럼프 대통령은 우크라이나 정전에 대해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 영토를 점령하는 상황에서의 정전을 전제로 하지만 이는 침략을 용인하는 형태로 장기적인 평화가 아니라 단순한 분쟁의 동결에 불과하다.
가자 문제에 있어서의 팔레스타인인 추방과 휴양지로 만들겠다는 계획에 대해서도, 인권침해나 인종청소의 우려를 초래하면서, 노벨평화상의 정신과는 정반대임이 명백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일국주의적 자세나 국제기구에 대한 적대적 태도는 노벨위원회의 전통적 가치관과 대립할 가능성이 있으며, 아무리 구체적인 성과를 내더라도 수상이 인정될 이유가 아닐 것이다.
결론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노벨평화상을 진심으로 노리고 있다는 것은 그의 발언과 행동에서 거의 확실하다. 그는 자신의 외교 성과를 최대한 활용해 상을 자신의 정치적 경력의 정점으로 만들려 하고 있다. 그러나 그 동기가 평화에 대한 진지한 헌신이 아니라 개인적인 명예나 전임자에 대한 대항심에 기초한 것으로 간주될 경우, 또 트럼프 대통령이 제안하는 해결책이 국제법이나 인권의 관점에서 문제가 될 경우 수상은 매우 어려울 것이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 분열되는 세계로 향해가는 투자의 '자국 지향', 월가에 타격 (49) | 2025.03.07 |
---|---|
장기화된 비트코인(Bitcoin) '극심한 공포', 가격상승 조짐 (80) | 2025.03.06 |
번아웃(burnout)되는 엘리트들, 그들을 몰아붙이는 "어떤 공통점"은 무엇? (47) | 2025.03.06 |
티백에서 유해물질 방출되고 있다...연구자 경고 [최근 연구] (37) | 2025.03.06 |
인공지능 연구가 겨울의 시대로…혁신적이라고 생각한 「뉴럴 네트워크(neural network) 연구」에 숨어 있던 설마의 "함정" (38) | 2025.03.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