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와 여자의 셀카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무엇?
'남자와 여자가 셀카를 찍는 방법에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라는 것을 플로리다주립대 연구자들이 동물의 진화 행동과 비교해 조사했습니다.
Peacocks fan their tail feathers to appear larger and more dominant; alpha giraffes strut with their heads held high; and submissive chimpanzees crouch low when met by dominant members of their tribe. Today, a new study has revealed, humans just change the angle of their forward-facing camera lenses.
Researchers at Florida State University have published the results of a series of experiments that explored how men and women take selfies, comparing them to evolutionary behaviors of other animals. Though perhaps no surprise to anyone who has spent time on social media over the last decade, women photographed themselves most frequently from above, an angle found to make them look younger and thinner to members of the opposite sex; men opted for shooting from below, which accentuated dominance to other men.
야생동물 세계에서는 두 마리의 동물이 서로의 몸을 크게 보이려고 상대방과의 물리적 위치 관계를 조정하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심리학자 Anastasia Makhanova는 사진이 찍히는 방식에 따라 달라지는 '보는 사람과의 위치 관계'를 조정하기 위해 소녀들이 카메라 앵글(각도)을 바꾸고 있는 모습을 보고, 이러한 행동 패턴은 어디에서 오는 것일까?라고 의문을 품었다고 합니다. 남녀의 셀카 찍는 경향을 생물의 진화론의 측면에서 이해하고 싶다고 생각한 Makhanova는, 복수의 연구를 시작하였습니다.
연구 초기 단계에서 마카노바 팀이 온라인에 공개되고 있는 데이트 서비스 프로필 이미지를 수집했는데, 많은 여성들의 프로필 이미지는 위에서 내려다보는 각도로 촬영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동성애자와 이성애자로 「매력」이 다르게 비칠 가능성을 생각해, 피실험자는 이성애자만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한편, 남성의 경우는 데이트 서비스의 프로필 이미지에 있어서 뚜렷한 경향은 볼 수 없었지만, 비즈니스 특화형 SNS인 LinkedIn에서는, 「아래에서 위로 올려다보는 각도」로 촬영되는 경향이 높다고는 것이 밝혀졌습니다. 여성에 대해서는, LinkedIn에 대해서도 「위에서 내려다보는 형태」로 촬영되는 경우가 많았다고 합니다.
마카노바(Makhanova)는 셀카에 있어서는 '온라인 서비스 상대편에 있는 보는 사람'이 매우 중요해진다고 설명합니다. 아래에서 올려다보는 각도에서 촬영된 사진은 피사체 전체의 크기와 턱선을 강조하기 때문에 남성을 경쟁에서 지배적인 입장으로 보이게 하는 것입니다. 눈앞의 수컷에 대해 자신을 크고 고령으로 보이게 하고 지배력이나 지위를 보여주는 행동은 진화과정에서 많은 수컷 동물에게서 볼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보면 히틀러나 스탈린은 자신의 권위를 각색하기 위해 아래로부터 위의 각도로 사진을 촬영하였으며, 영화의 세계에서 말한다면 스탠리 큐브릭 감독이나 알프레드 히치콕 감독이 캐릭터에 힘과 지배력을 주기 위해 아래로부터의 샷으로 촬영하였습니다.
그럼 셀카의 세계에서도 같은 말을 할 수 있을까?
그래서 마카노바 씨는 대학생 250명에게 카메라를 건네 촬영된 사진을 보는 사람이 남성인지 여성인지를 전한 후 셀카를 찍었습니다. 그러자 남성이 사진을 본다고 들었을 때 여성이 위에서 아래 각도로 촬영하는 경향과 남성이 사진을 본다고 들었을 때 남성이 아래에서 위의 각도로 촬영하는 경향이 높았다고 Makhanova는 말합니다.
마지막 실험으로 앵글의 차이로 인해 보는 사람은 다른 인상을 가질 것인가?라고 하는 것을 Makhanova는 조사했습니다. 피실험자인 남녀에게 위에서·정면에서·아래로부터의 각도로 촬영된 인물 사진을 보여주고, 사진 속 인물의 신장·나이·매력에 대해 평가를 하도록 하였습니다.
실험 결과 위 각도에서 촬영된 20대 여성은 평균 2세 젊어 보였고 매력 평가도 4.8점에서 5.4점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여성은 위에서 각도로 촬영됐을 때 가장 매력적으로 나옵니다. 이것은, 위로부터의 앵글이 여성을 가늘고 젊어 보이게 하는 것이 큰 요인입니다"라고 Makhanova는 말합니다. 가슴골이 잘 보이던 여성은 10%에 그쳤기 때문에 위에서 각도 촬영과 가슴골의 관계는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남성의 경우 촬영 앵글이 바뀌어도 매력에 대한 평가는 영향을 받지 않았다고 합니다. 다만 남성 평가자들은 아래에서 촬영된 사진을 보고 '더 지배적'이라고 받아들였습니다. 남성이 이러한 행동을 취하는 것은 남성에 대해서 뿐이며, 또한 남성만이 이 사진들의 징후를 눈치채고 있었던 것입니다.
한편, 여성이 위로부터의 각도로 촬영되는 것을 선호하는 경향과 지배·복종의 요소 사이에는, 상대가 남성인지 여성인지에 관계없이 아무런 영향이 없었습니다. 즉, 위에서 각도로 촬영됨으로써 여성들이 '무력함'을 강조하고 있다는 사실은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Machanova는, 셀카에 있어서의 진화 행동이 「타인이 온라인으로 사진을 본다」는 것에 의해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셀카의 앵글에는 문화적인 요소가 많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생물학적인 요소도 중요한 것으로서 존재한다」라고 하고 있습니다. 상대방과의 관계에서 위치(포지션)를 바꾸는 것은 많은 동물들이 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그것을 보다 현대적인 방법으로 행하고 있습니다」라고 Makhanova는 말합니다.
위에서부터나 아래로부터의 앵글에서의 촬영방법이 인기를 얻은 것은, 지배와 매력에 관한 커뮤니케이션이 보편적인 것이기 때문이라고 Makhanova는 생각하고 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Relative Physical Position as an Impression-Management Strategy: Sex Differences in Its Use and ImplicationsPsychological Science - Anastasia Makhanova, James K. McNulty, Jon K. Maner, 2017
http://journals.sagepub.com/doi/abs/10.1177/0956797616688885
The Surprising Reason Men and Women Take Selfies Differently
https://www.artsy.net/article/artsy-editorial-surprising-reason-men-women-selfies-differently
The Reason Men and Women Take Selfies Differently | Artsy
A recent study reveals the evolutionary reasons behind the angle at which men and women take selfies.
www.artsy.net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5일 근무제는 어떻게 시작되어 확산되었나? (0) | 2023.12.13 |
---|---|
'정신적 강인함(mental toughness)'를 단련하고 엘리트가 되기 위한 사고방식은? (4) | 2023.12.12 |
과학의 신뢰을 실추시킬 수 있는 「부정논문의 실태」 (2) | 2023.12.11 |
세계최초 AI규제법 EU 합의, 정책집행기구 위원장은 '세계 최초 AI법'임을 강조 (2) | 2023.12.11 |
화난 사람은 평소와 같이 일상적 감정을 가진 사람보다 어려운 작업을 해결할 수있는 능력이 높다는 연구 결과 (2) | 2023.12.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