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는 어려움에 처한 주인의 정신 건강에 큰 공헌을 한다는 조사 결과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팬데믹에서는, 많은 사람이 외출을 삼가거나 자택에서 근무하거나 하는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다. 이전의 연구를 통해 '주인이 집에서 보내는 시간이 길어진 덕분에 애완견의 행복도가 향상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지만, 새로운 연구를 통해 '반려견의 존재 또한 팬데믹에 직면한 주인의 정신적 건강 유지에 크게 기여하고 있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고 한다.
팬데믹으로 미국 등 많은 나라에서 큰 피해를 입으면서 사람들은 감염 확대를 막기 위한 록다운이나 실업과 같은 큰 생활의 변화를 겪었다. 이러한 영향은 특히 심리적으로 상당한 충격을 받았고, 그 결과 미국의 경우에는 「미국인의 3분의 1이 우울증이나 불안장해에 걸렸다」는 보고가 나왔다.
이에, 펫 푸드 메이커 네슬레퓰리서리 과학자인 프랜시스 마틴씨 등의 연구팀은, 신형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의 팬데믹에 직면했을 때의 정신위생에 대한 영향이, 개를 기르고 있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과의 어떻게 다른지를 조사하는 연구를 실시했다.
조사는 2020년 11월 9일~24일과 2021년 2월 18일~22일 2회로 나누어 실시된 온라인 설문에 참여한 개 주인 768명과 장래 개를 키울 예정이 있으나 아직 기르지 않은 사람 767명 등 총 153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또, 참가자의 심리상태는 6종류의 분석기법으로 측정된 「우울증의 경향」 「불안증의 징조」 「행복도」 「소셜 서포트의 인식」의 4점으로 평가되었다.
이 조사 결과, 개를 기르고 있는 사람은 개를 기르지 않는 사람에 비해 우울증의 경향을 나타내는 점수는 낮은 반면, 소셜 서포트의 인식은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불안증이나 행복도에 대해서는 양그룹 전체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지만, 소셜 서포트의 인식의 점수를 「저·중·고」의 3단계로 나누어 각각 분석한 결과, 소셜 서포트의 스코어가 「저·중」이었던 경우에는 개의 주인 쪽이 개를 기르지 않는 사람보다 불안감이 적고, 또 마찬가지로 「저·중」에서는 개의 주인 쪽이 행복도가 높았다.
즉, 개를 기르고 있는지 여부는 이미 사회적인 유대가 충분한 사람의 불안감이나 행복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사회적인 유대가 약한 사람의 불안을 완화시키거나 행복도를 개선하는 데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대해 연구자인 마틴씨는 이번 연구는 개가 사람에게 사회적 도움을 주거나 우울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어려움에 처한 주인의 행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고 밝히며, 애견인인 저로서는 개는 사람의 행복에 도움이 된다고 해도 될 정도인 것 같다는 견해를 나타냈다.
Depression , anxiety , and happiness in dog owners and potential dog owners during the COVID - 19 pandemic in the United States
https://journals.plos.org/plosone/article?id=10.1371/journal.pone.0260676
Study reveals 3 mental - health benefits of dogs in a crisis
https://www.inverse.com/science/three-benefits-of-dogs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텔스오미크론이 주류가 되면 피크시 감염자수는 하루 80만명 이상 예상 (0) | 2022.03.21 |
---|---|
개를 기르고 싶은 사람이 알아야 할 5가지 수칙 (0) | 2022.03.19 |
'개를 기르면 심장마비나 뇌졸중으로 인한 사망 위험이 낮아진다'는 연구 결과나와 (0) | 2022.03.19 |
유년기에 개를 키운 사람은 정신 분열증 위험이 최대 55% 적었다고 조사 결과 (0) | 2022.03.19 |
슈워제네거 '전쟁 멈춰라' ... 영상을 통해 러시아에 호소 (0) | 2022.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