훌륭한 아이디어를 낳기 위한 중요한 요소는?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훌륭한 아이디어를 낳기 위한 중요한 요소는?

by 소식쟁이2 2023. 12. 29.

훌륭한 아이디어를 낳기 위한 중요한 요소는?

기술계의 기사를 투고하는 블로그인 The Generalist의 마리오 가브리엘레가, 혁신을 낳는 아이디어 발상을 할 수 있는 인재나 방법, 환경조성에 대해 연구한 학술 연구 중에서, 7개의 연구를 선정해 설명하는 내용입니다.

 

If you only have a few minutes to spare, here’s what investors, operators, and founders should know about finding great ideas.
*Tolerating failure. The beginner’s mind. Structural holes. Motivating innovation. The knowledge burden


유명한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는 "아이디어는 저렴하고 풍부합니다. 가치가 있는 것은 그 아이디어들을 행동으로 발전하는 상황에 효과적으로 배치하는 것입니다"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이러한 입장은 학회나 비즈니스 이론 업계 전체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것이지만, 가브리엘레는 「확실히 아이디어는 효과적인 배치를 필요로 하는 것이지만, 아이디어가 없으면 배치할 것도 없습니다. 아이디어는 모든 진보의 씨앗이며 희소가치는 해마다 높아지고 있습니다.」 실제로 스탠퍼드대가 2018년 공개한 논문에서는 "연구 노력은 크게 증가하고 있지만 연구 생산성은 급격히 떨어지고 있어 아이디어를 찾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이 나타났습니다.

아이디어의 중요성과 아이디어를 낳는 어려움이 높아지는 가운데 어떻게 하면 좋은 아이디어를 낳을 수 있는지 등에 초점을 맞춘 복수의 학술연구를 가브리엘레는 조사하여 7개의 연구로 좁혀 중요한 포인트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 1 : 인센티브 사용법
우선 첫 번째로 인센티브의 중요성을 가브리엘레 설명하고 있습니다. '독사인 코브라를 줄이기 위해 코브라를 포획하면 보상을 주도록 했는데, 코브라를 대량 번식시키는 사람이 늘었다'는 '코브라 효과(Cobra effect)'가 비즈니스나 정치에서는 종종 인용됩니다. 인센티브는 많은 경우에 효과적이지만, 다만 도입하면 오히려 목적에 반하는 악화되는 방향을 강하게 뒷받침하는 코브라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인센티브의 바람직한 형태로서 과거의 연구에서는 연구자에게 자금을 제공하는 미국국립위생연구소(NIH)와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HHMI)라는 그룹의 차이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NIH는 구체적인 성과물에 중점을 두고 짧은 심사 사이클로 연구자에게 자금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편, HHMI는, 장기적인 시야에서 프로젝트 그 자체보다, 인재에게 자금을 제공하는 형태가 되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HHMI의 자금을 지원받은 연구자들이 다양한 면에서 뛰어난 성능을 발휘했다고 논문 저자들은 결론 내렸습니다. 이에 따라 가브리엘레는 프로젝트보다 인재를 중요시하는 인센티브는 '실패에 대한 허용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이 점이 장기적인 사고와 실험을 지원해 성공으로 이어지기 쉽다고 분석했습니다.

· 2 : 전문가 외의 사람과 이야기하다
좋은 아이디어를 낳는 중요한 포인트 중 두 번째로 '특정 주제에 대해 거의 모르는 사람으로부터 전문가가 깨닫지 못하는 해결책을 얻을 수 있습니다'라고 가브리엘은 말합니다. 2014년 연구에서는 '유사시장(類似市場)'의 사람들이 독자적인 아이디어를 창출하는 데 상당히 뛰어난 것으로 발견되었습니다. 전문가 아이디어를 위해 자극을 원하는 경우에 동료나 업계 전문가가 아닌 유사한 분야의 사람에게 찾아가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만 연구들은 비전문가 아이디어는 현실적인 지식을 수반하지 않기 때문에 더 창의적이지만 실제로는 주로 비용 측면에서 실현이 거의 불가능한 아이디어일 수도 있다고 말했습니다.

· 3 : 공동으로 손맞잡고 피드백을 얻다
조언을 받을 뿐만 아니라 공동으로 손맞잡는 것도 좋은 아이디어를 낳는 요소로서 가브리엘레는 들고 있습니다. 미팅이나 데이터를 공유한 피드백에서 얻을 수 있는 프로세스는 매우 효과적이며, 특히 '질문에 답하기'는 아이디어를 생각하는 데 특히 중요합니다. 나와 다른 시각이나 더 좁은 지식이나 관점에서 나오는 질문들은 지식을 재구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4 : 좋은 아이디어를 낳는 '슈퍼스타'에 대해
그룹이 중요해지는 한편, 좋은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슈퍼스타'는 종종 나타납니다. 2008년 공개된 '슈퍼스타의 멸종'이라는 연구에서는 1만 명 이상의 엘리트 과학자 중 불의의의 죽음으로 인해 얼마나 연구에 영향이 있었는지 분석했습니다.

결과적으로 8.8%~12.2%가 '큰 폭으로 유의미하게 생산량이 감소했다'고 기록되었습니다. 남다른 활약을 하는 슈퍼스타가 아이디어를 창출하고 있는 경우에는 슈퍼스타가 어떤 형태로든 손실되더라도 생산량이 크게 떨어지지 않도록 정보나 지식 공유, 공동 연구 자금 확보 등을 적극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가브리엘레는 주장했습니다.

· 5 : 조직의 어디에서 좋은 아이디어가 나오는가?
그룹 내지 조직에서 아이디어가 나올 경우 사람과 정보가 난무하는 네트워크 어디에서 아이디어가 나오느냐 하는 점도 주목해야 할 포인트입니다. 미국의 사회학자인 로널드 버트는 2004년에 미국 최대 전자기업의 관리직을 연구하여 조직 네트워크에 있는 구조를 연구했습니다.

일반적인 하향식 조직에는 조직 내 각 그룹 간에 정보가 잘 공유되지 않는 구조적 구멍이 존재한다고 버트는 말했습니다. 관리직이 각 그룹 전체로부터 정보를 받아도 거기서 새로운 아이디어는 나오기 어렵습니다. 한편, 각각의 그룹으로부터 정보를 받아 통합하는 「브로커」와 같은 존재는, 「비전의 우위성이 있어, 조직을 보다 좋게 볼 수 있습니다」라고 버트는 말합니다. 조직의 네트워크에는 어느 정도 제약이 있으며, 그러한 제약을 받기 어려운 입장이 질 높은 아이디어를 낳을 수 있습니다.

· 6 : 동기
전미경제연구소(NBER)는 2008년에, 연구 개발을 실시하는 1만 1000명 이상의 과학자에 대해서, 연구에 대한 노력과 성과에의 외부발생적·내부발생적 동기의 영향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연구에서는, 과학자가 지금의 일이나 연구 내용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회신해, 회신 내용을 급여나 연구자금, 특별한 입장을 얻을 수 있는 등의 「외부발생적 동기」나, 책임이나 지적 도전이라고 하는 「내부발생적 동기」에 등급을 매겼습니다. 이후 일자리를 선택한 이유를 주당 근로시간 및 지난 5년간 얻은 특허 건수와 함께 분석했습니다.

연구 결과 얼마나 노력하고 몰입할 수 있는지 및 혁신적인 성과를 낼 수 있었는지는 외부발생적 동기보다 내부발생적 동기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호기심을 이유로 직업을 선택한 과학자들은 더 많은 시간을 일하고 더 많은 특허를 취득하고 있습니다.

한편, 높은 급여를 동기로 한 과학자는 노동시간이 적은 경향에 있었고, 또 고용 안정을 동기로 한 과학자는 창조적인 성과가 낮은 경향에 있었습니다.

· 7 : 좋은 아이디어를 채우는 연령층
경제학자 벤자민 존스는 '왜 아이디어를 찾기 어려워지고 있는가?'라는 원인으로 '중요한 교육의 고도화'와 '지식의 최전선의 변화'를 꼽았습니다. 담당하고 있는 분야의 지식 수준이 올라가면, 거기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교육의 부담이 커집니다. 결과적으로 주목할 만한 혁신을 달성하는 사람의 연령이 큰 폭으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이하 그래프는 1935년 이전, 1935년부터 1965년, 1965년 이후로 이노베이션을 일으키는 능력의 피크가 되는 연령이 움직이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존스의 발견에 대해, 가브리엘레는 「사회적인 관점에서 보면, 젊은 사람이 이노베이션을 일으키기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은, 우려할 점입니다. 다만, 각 개인의 관점에서 보면, 뛰어난 아이디어를 만들어내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 빠져 있었다고 해도, '시간이 지나면 어떻게든 된다'라고 생각하게 해 주는 것일지도 모릅니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Where Do Great Ideas Come From? | | The Generalist
https://www.generalist.com/briefing/where-do-great-ideas-come-from

 

Where Do Great Ideas Come From? | The Generalist

Seven research studies reveal the people, incentives, and environments that create innovation.

www.generalist.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