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5년간 「금(金)은 주식을 넘어설 것이다?」 과거의 패턴으로 예측
경제의 미래가 불투명하고 인플레이션율이 높을 때, 금(金)의 수익은 주식을 웃도는 경향이 있다. 반대로 경제성장이 강력하고, 예측 가능하며 인플레이션율이 떨어지는 추세일 때는 주식의 수익률이 금(金)을 웃도는 경우가 많다.
트럼프 행정부 하에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지고 있는 것은 거의 확실하며, 미국에 의한 관세인상과 그에 대항하는 각국의 관세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릴 공산이 큰 지금 우리는 금(金)에 있어서의 황금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역사적으로 보통 주식은 다른 자산 클래스를 아웃퍼폼(outperform. 일정 기간의 상승률이 평균을 웃도는 것)한다. 예를 들어 지난 70년간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1만3900% 올라 인플레이션 조정 이후 금(金) 1온스당 가격 상승률인 7800%를 크게 웃돌고 있다.
그러나 향후 5년간은 지정학적 리스크, 인플레이션, 중앙은행의 매수세에 의해 금(金)은 주식을 아웃퍼폼해 2030년에는 온스당 약 5000달러까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 반면 향후 5년이 안정적인 저인플레이션 성장기라면 수익과 배당 증가로 인해 주가는 금(金)보다 더 상승할 것이다.
과거에 금(金)이 주식을 앞지른 시기, 그 반대의 시기, 그 이유, 그리고 앞으로 당신이 해야 할 일을 살펴보자.
• 금(金)이 주식을 아웃퍼폼한 시기
공포가 고조되면 사람들은 금(金)을 산다. 지난 70년간 금(金)이 다우를 아웃퍼폼(일정 기간의 상승률이 평균을 웃도는 것)한 기간을 분석하면 보인다.
·1971년~1980년
맥크로트렌드(MacroTrends)에 따르면 이 기간 동안 다우가 25% 하락한 반면 금은 약 2300% 상승했다. 환율 안정을 목적으로 한 브레튼우즈 체제가 종료되면서 스태그플레이션(고인플레이션과 경제성장 둔화)과 지정학적 긴장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알려졌다.
·1999년~2011년
맥크로트렌드(MacroTrends)에 따르면 그동안 닷컴 버블 붕괴로 S&P 500 주가지수가 15% 하락하는 반면 금(金)은 약 570% 상승했다.
·2020년~2023년 1월
MacroTrends에 따르면 그동안 금(金)은 75% 올랐고, S&P500은 60% 상승했다. 이 기간 동안 세계는 코로나19 대유행, FRB(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경기부양책, 높은 인플레이션,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겪었다.
• 주식이 금(金)을 아웃퍼폼한 시기
경제성장이 강하고 인플레이션율이 낮을 경우 주식은 금(金)을 웃도는 경향이 있다.
·1955년~1971년
MacroTrends에 따르면 이 기간 다우가 140% 오른 반면 금값은 불과 14%밖에 오르지 않았다. 이 시대 금값은 온스당 35달러로 고정돼 있던 반면, 전후 호경기가 주가를 끌어올렸다고 인베스토피디아는 지적한다.
·1980~1999년
MacroTrends에 따르면 지난 20여년간 S&P500은 817% 올랐고 금값은 62% 하락했다.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이는 폴 볼커 당시 FRB 의장이 금리를 인상해 인플레이션을 물리친 데 따른 것이다. 그 후, 테크놀로지의 발전이 경제성장에 박차를 가했다고 Investopedia는 쓰고 있다.
·2011년~2019년
MacroTrends에 따르면 지난 8년간 금값은 62% 하락했고 S&P500은 817% 상승했다. 포브스 기사에 따르면 이 주가 강세는 낮은 인플레이션과 저금리를 특징으로 하는 금융위기 이후 경기 회복 기간에 야기됐고 불확실성이 감소하면서 투자자들은 금(金)에서 주식으로 전환했다.
• 2030년까지는 금(金)이 주식을 아웃퍼폼하는가?
향후 5년 간 금과 주식은 어떻게 될까? 뉴욕타임즈에 따르면 맥로 폴리시 퍼시픽이 설문조사를 한 115명의 이코노미스트 및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스태그플레이션 공급쇼크'의 도래를 예측하고 있다.
타임스에 따르면 이들 전문가는 앞으로 1년간 경제성장률이 0.6%포인트 낮아지고 실업률이 0.5%포인트 상승해 4.6%가 되며, 인플레이션율이 0.5%포인트 상승해 3%가 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이 같은 스태그플레이션은 금(金)이 주식을 2325%나 웃돈 1971년부터 1980년까지의 기간과 비슷하다.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금리를 올리든지, 실업률이 더 이상 오르지 않도록 금리를 현상유지(혹은 인하)하든지, FRB가 어려운 처지에 놓일 것은 틀림없다.
로레타 메스터 전 클리블랜드 연방은행 총재는 타임스에 이렇게 말했다. "비록 외부 사람이 경시하는 것 같더라도 FRB 사람들은 그것을 주시해야 한다. 그런 지표를 보고 우와, 이건 우리가 생각하는 것만큼 안정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고 말해야 한다"
이는 향후 5년간 금(金)을 포트폴리오에 더하는 것이 좋은 행동임을 시사한다.
(출처) Gold Could Outpace Stocks By 2030 Due To Economic, Geopolitical Risks
https://www.forbes.com/sites/petercohan/2025/04/01/gold-could-beat-stocks-by-2030-due-to-geopolitical-risk-stagflation/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AI가 만든 곡이 음악 스트리밍으로 급증, 60%의 뮤지션이 AI를 이용한 데이터도 (21) | 2025.05.15 |
---|---|
중국산 무기, '인도와 파키스탄 충돌'에 재평가 - 신뢰성 인식 변화 조짐 (82) | 2025.05.14 |
화웨이는 미국의 강력한 제재에도 불구하고 부활하여 중국 시장에서 아이폰을 추격하고 있다 (27) | 2025.05.14 |
현대차가 인도에서 기어변속, 속도조절해 EV(전기차) 주력 ... 회장은 부자 순위 10위 유지할 수 있을까 (35) | 2025.05.14 |
왜 운동으로 수명이 늘어나는 걸까... 호르미시스와 단백질 재활용 구조 (34) | 2025.05.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