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인을 섭취하면 만성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밝혀져
커피나 에너지 음료 등에 포함되는 「카페인」을 섭취하면, 인간의 몸에는 다양한 효과나 문제가 생긴다. 이러한 카페인은 '만성 스트레스'를 경감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새롭게 밝혀졌다.
심신에 피로가 쌓인 상태에서 '스트레스'에는 급격한 변화나 위기 상황에 빠졌을 때 일어나는 '급성 스트레스'와 지속적으로 가해지는 심신에 대한 부하인 '만성 스트레스'의 2종류가 있다. 카페인을 섭취하면 만성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고, '울음'이나 '기억력 저하' 등의 만성 스트레스에서 오는 악영향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한다. 스트레스 경감을 위해 평소보다 카페인을 많이 섭취한다는 행동은 상상 이상으로 효과적이었다는 것이다.
카페인이 만성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효과적이라고 발표한 것은 코인브러대학의 Centre for Neuroscience and Cell Biology(CNC)에서 일하는 연구팀이다. 논문은 미국과학아카데미 정기 간행물(PNAS)을 통해 발표됐다. 연구팀은 인간의 몸속 신호전달을 꼼꼼히 조사해 카페인이 뇌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조사하고 있다.
만성 스트레스는 뇌의 해마에 있는 신경 회로를 변화시켜 버릴 수 있다. 이것이 일어나면 인간의 기분은 감퇴되고 기억력은 저하되고 기타 감정도 침울해진다고 한다. CNC 연구팀은 인간과 마찬가지로 만성 스트레스에 노출된 생쥐의 뇌에서는 어떤 일이 생기는지 확인하는 실험을 했으며, '장기 스트레스'에 실험용 생쥐를 노출하기 위해 케이지(생존 공간인 우리)를 기울이거나 톱밥에 적시기도 하거나 케이지를 자주 교체했다고 한다.
실험 결과 생쥐도 만성스트레스에 노출됨으로써 체중 감소와 기억력 저하가 생기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만성 스트레스에 노출된 생쥐는 무기력하고 자극에 대해서도 민감하지 않게 되었다고 한다. 아울러 실험에서는 만성 스트레스의 효과를 실증한 후 생쥐에게 카페인이 든 물을 섭취하게 함으로써 카페인 섭취가 만성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도 조사하고 있다. 조사 결과 카페인을 섭취한 생쥐에서는 우울 증상이 조금씩 해소되어 가고 기억장애도 개선되었다고 한다.
만성 스트레스가 심신에 미치는 효과와 카페인이 만성 스트레스에 대해 어떻게 효과를 발휘하는지 실증한 후 왜 카페인을 섭취함으로써 만성 스트레스를 경감시킬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연구팀은 인간의 뇌에 있는 아데노신 수용체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조사했다. 뇌의 아데노신 수용체에는 A1, A2A, A2B, A3라는 4가지 수용체가 있으며 카페인은 이 아데노신 수용체의 단백질에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수용체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만성 스트레스에 노출됨으로써 신경전달 기능은 분자가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하는 물질로 알려진 안타고니스트로 변화하여 아데노신 A1 수용체를 감소시키고 A2A를 증가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아데노신 A2A 수용체가 카페인의 만성 스트레스에 대한 효과를 흉내 내는 것도 발견하여 만성 스트레스에 대해 A2A 수용체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결론내렸다.
Caffeine acts through neuronal adenosine A2A receptors to prevent mood and memory dysfunction triggered by chronic stress
http://www.pnas.org/content/early/2015/06/03/1423088112.abstract?sid=9ce11ec7-9c6c-483a-ae9a-4754a04d6349
Caffeine could limit damage of chronic stress | Ars Technica
http://arstechnica.com/science/2015/06/caffeine-could-point-the-way-to-limiting-damage-of-chronic-stress/
Caffeine could limit damage of chronic stress
A cup of joe wards off depression following chronic stress.
arstechnica.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간의 뇌에 관한 당신이 알아야 할 7가지 사실 (0) | 2023.09.15 |
---|---|
사람이 슬픔을 느낄 때 뇌는 어떤 반응을 보이는가? (0) | 2023.09.15 |
원인은 도파민? 남성이 여성보다 알코올 의존이 더 쉬운 이유 (0) | 2023.09.14 |
사해문서(死海文書)에 '두 번째 글쓴이'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AI를 이용한 필적감정을 통해 밝혀져 (0) | 2023.09.14 |
수많은 다이어트 방법 중 실제로 효과적인 방법은 어떤 것? (2) | 2023.09.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