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에 따르면 잘생긴 외모적인 매력의 혜택을 쉽게 받는 사람은, 여성보다 남성이라는 것이다
노르웨이 오슬로대학교와 폴란드 과학아카데미 사회학자들이 공동으로 외모적인 매력이 삶에 어떤 이익을 주는지에 대한 조사를 한 결과 15세 때 외모적인 매력이 30대의 사회적 지위 등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 recent study published in Social Science Quarterly has shed light on an intriguing aspect of our lives—how our physical appearance during our teenage years can impact our future social mobility. Researchers found that being perceived as attractive during adolescence can significantly boost a person’s chances of moving up the social ladder in terms of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연구에서는 '일반적으로 여성은 남성보다 매력적이라는 이유로 더 많은 혜택을 받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실제로는 남성이 외모적 매력으로 인해 직장에서의 성공을 획득하고 있을' 가능성이 분석되어 있습니다.
오슬로대학에서 사회학 교수를 맡고 있는 알렉시 구시빌리와 폴란드 과학아카데미의 구제고시 불차크는, 「10대 무렵의 외모는 미래의 사회적 지위나 직업 결정, 수입 등의 측면에 영향을 주는가」에 대해 연구를 실시했습니다.
논문은 학술지 Social Science Quarterly에 게재되어 있습니다. 연구에는, 미국의 청소년을 대상으로 해 장기간에 걸쳐 종단적 관찰을 실시하는 「청소년의 건강에 관한 전국 종단 연구(NLSAH)」의 1만 1583명분의 데이터가 사용되었습니다.
데이터 분석 결과로 30대보다 늦게 꽃피우는 사람이 있거나, 성공에 영향을 주었을 가능성이 있는 미지의 요인이 있거나, 데이터에는 한계가 있음을 연구자들은 인정하면서도 '외모적 특징이 미래의 직업 선택이나 직장에서의 활약에 영향을 준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사회학의 주제로 부모와 자손 사이의 사회적 지위의 유사 정도에 초점을 두는 '세대 간의 사회적 유동성'이라는 것이 있는데, 구시빌리와 불차크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5세 때의 외모적 평가가 '20년 후에 사회적 유동이 발생할지 말지에 대한 예측 인자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외모적 매력이 사회적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에 남성과 여성에서 차이를 볼 수 있는가 하는 점도 주요 조사 목표가 되었습니다. 2022년 발표된 선행연구에서는 "여성은 외모를 개선하기 위해 더 많은 시간과 자원을 투자하고, 이를 생활의 여러 측면에서 이용할 기회가 더 많기 때문에 여성에게 외모적인 매력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주장하는 등 남성보다 여성이 외모적 매력으로 인한 이익이 더 많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많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NLSAH를 이용한 '15세 때의 외모적 평가가 20년 후의 사회적 유동성을 예측 가능한가'라는 조사에서는 외모적으로 매력적인 여성은 그렇지 않다고 간주되는 여성보다 '약간 유리'하다고 평가된 반면, 남성은 외모적 매력에 '더 중요한 영향을 받는다'고 결론지었습니다.
연구자들은 "외모적으로 매력적이라고 판단된 남성은 평균적인 외모의 남성보다 교육, 직업, 수입이라는 사회적 유동성의 세 가지 척도에서 더 유동적, 즉 뛰어난 이익을 얻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라고 결론지었습니다.
구시빌리는 「외모적으로 매력적인 사람은 연애나 결혼 면에서 유리하다는 점뿐만 아니라 다른 중요한 성과 면에서도 다른 사람보다 유리하다는 일반적인 개념이 부모의 영향을 주된 요인으로 하는 사회적 유동성 향상에도 정말 도움이 되는지를 보여주는 연구는 별로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사회적 유동성을 촉진하는 요인은 오랜 연구에서도 잘 이해되지 않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외견적으로 매력적인 것이, 부모와 비교해서 더 좋은 교육을 받고, 더 명예로운 일에 종사해, 더 높은 수입을 얻는 데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라고 연구의 의의에 대해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은 큰 경제적 불평등을 이유로 사회적 유동성이 낮기 때문에 외모적 매력이 사회 유동성의 도구로 이용되기 쉽다는 과거 연구도 있기 때문에 그는 미국 이외의 나라에서도 해당되는지에 대한 연구도 흥미롭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Physical attractiveness and intergenerational social mobility - Gugushvili - Social Science Quarterly - Wiley Online Library
https://onlinelibrary.wiley.com/doi/10.1111/ssqu.13320
Attractiveness has a bigger impact on men's socioeconomic success than women's, study suggests
https://www.psypost.org/2023/11/attractiveness-has-a-bigger-impact-on-mens-socioeconomic-success-than-womens-study-suggests-214653
Attractiveness has a bigger impact on men's socioeconomic success than women's, study suggests
A study in Social Science Quarterly found that attractiveness in adolescence boosts social mobility, particularly for men, impacting their education, occupation, and income more than for women. This overlooked factor shows significant influence on future s
www.psypost.org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닮은 부부는 원래 비슷한지 점점 닮아가는지에 대한 결론이 연구에서 밝혀져 (30) | 2024.02.14 |
---|---|
샘 알트만 OpenAI의 CEO가 수천 조원 규모의 파격적인 자금조달을 계획하며 '반도체 업계 재구축'을 목표로 (17) | 2024.02.14 |
술에 취하면 사람이 매력적으로 보이는 '맥주 고글 효과(Beer Goggles Effect)'의 원인은 얼굴이 예뻐 보여서가 아니라는 연구결과 (15) | 2024.02.14 |
가상환경에서도 방에 들어가면 순간 할일을 잊어버리는 '도어웨이 효과(Doorway Effect)'는 일어날 수 있다는 연구 결과 (27) | 2024.02.14 |
'도어웨이 효과(Doorway Effect)'로 방에 들어가는 순간 해야 할 일을 잊어버리게 되는 것이 강하게 나타나는 때는? (13) | 2024.02.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