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의 비명에는 '6가지'의 감정이 담겨 있는 것으로 밝혀져, 위험을 알리는 경고의 목소리보다 기쁨의 목소리가 우선도가 높은 '역전 현상'도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사람의 비명에는 '6가지'의 감정이 담겨 있는 것으로 밝혀져, 위험을 알리는 경고의 목소리보다 기쁨의 목소리가 우선도가 높은 '역전 현상'도

by 소식쟁이2 2023. 9. 26.

사람의 비명에는 '6가지'의 감정이 담겨 있는 것으로 밝혀져, 위험을 알리는 경고의 목소리보다 기쁨의 목소리가 우선도가 높은 '역전 현상'도

인간은 위기가 몸에 닥쳤을 때 등 두려움을 느낄 때 비명을 지르지만 기분이 너무 좋을 때의 환호성 등 공포 이외의 감정에서도 비명 같은 소리를 낸다. 사람이 다양한 상황에서 내는 비명을 피실험자에게 들려주는 실험을 통해 "인간의 비명에 담긴 감정은 6가지 종류로 나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 위기가 임박했음을 알리는 경계의 비명과 그렇지 않은 비명을 지르고 있는 뇌를 스캔한 결과 전문가들이 예상치 못한 역전 현상도 발견됐다. 

인간 이외의 영장류나 포유류 사회에서는 개체 간 충돌이나 포식자 출현 등 어떤 위협이 존재하는 부정적인 상황에서의 경보로만 비명이 사용된다. 한편 인간의 비명은 희로애락을 비롯한 여러 감정에 의해서도 야기되는데, 지금까지 이루어진 비명에 관한 연구는 공포나 공격을 느꼈을 때의 비명에 관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이에 스위스 취리히대학심리학부의 Sascha Früholz 교수팀은 남녀 6명씩 총 12명의 피실험자에게 다양한 상황을 가정한 '부정적인 비명'과 '긍정적인 비명'을 발성소리를  받아 그 목소리를 녹음했다. 피실험자들에게 제시된 상황은 "당신은 어두운 골목에서 무장한 낯선 사람에게 공격당하고 있습니다, 당신은 상대방을 위협하려 합니다, 당신이 응원하는 축구팀이 월드컵에서 우승했습니다, 당신은 성적인 쾌감으로 나도 모르게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또, 비명은 "a"라는 모음만으로 표현하도록 하였다. 

연구팀은 다음으로 수집된 420개의 비명을 다른 그룹의 피실험자에게 들려주고 그 비명으로부터 느끼는 '경계의 정도'를 평가하도록 하거나 듣고 있는 피실험자의 뇌를 자기공명기능영상법(fMRI)으로 스캔하는 실험을 진행해 비명을 들은 피실험자의 반응을 기록했다. 그 결과 인간의 비명에 담긴 감정은 '통증·분노·두려움·기쁨·슬픔·즐거움'의 6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비명을 듣는 사람의 뇌 검사 결과에서 인간은 '통증·분노·두려움·슬픔'과 같은 경계의 의미가 강한 부정적인 비명보다 '기쁨이나 즐거움'과 같은 경계색 없는 긍정적인 비명을 더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구체적으로 경계색 없는 비명은 청각을 처리하는 영역이나 전두엽 등의 영역에서 경계 비명보다 큰 활동을 일으켰다는 것이다. 

이 결과에 대해 Früholz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놀랍다. 왜냐하면 연구자들은 그동안 "영장류를 비롯한 동물 인지 시스템은 생존 메커니즘의 일환으로 환경 속의 위험이나 위협의 신호로서의 비명을 감지하는 데 특화되어 있다"고 상정해 왔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를 통해 인간의 경우 긍정적인 감정을 비명으로 전달하거나 이를 감지하는 것이 경계의 신호보다 우선시되는 것 같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우선순위의 변화는 인간이 발전시킨 복잡한 사회에 대응할 필요성 때문에 생긴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재미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Neurocognitive processing efficiency for discriminating human non-alarm rather than alarm scream calls
https://journals.plos.org/plosbiology/article?id=10.1371/journal.pbio.3000751

Human screams communicate at least six emotions
https://medicalxpress.com/news/2021-04-human-emotions.html

Why do wescream까? The six types of human screams have an evolutionary basis
https://www.inverse.com/mind-body/why-do-we-scream-science

 

Neurocognitive processing efficiency for discriminating human non-alarm rather than alarm scream calls

Human screams are more diverse in their communicative nature than those of other species, and are not limited to alarm signals of threat. This study shows that surprisingly, non-alarming screams, and positive screams in particular, have higher efficiency o

journals.plos.org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