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은 인간사회에서 독자적인 진화를 이루는, 언어와의 복잡한 관계
최근 진행된 두 연구자에서 연구자들은 음악과 언어의 관계가 분명 단순한 것이 아님을 시사하는 단서를 찾아냈다.
앞서 과학잡지 Science Advances에 발표된 연구는 세계의 다른 문화에서 노래와 말하기(음성 언어를 표현하는 행동과 그 결과로서 생긴 음성)을 비교했다. 게이오기주쿠대 SFC연구소의 오자키 히로토 상석사원과 환경정보학부 패트릭 새베지 교수는 대규모 국제연구팀과 협력해 세계 각지의 50여 개국의 음악과 언어 녹음을 분석하였다.
많은 다른 언어와 음악 문화를 고려함으로써 그들에 관계없이 음성과 음악의 특징이 어떻게 비교, 분석될 수 있다. 그 결과 전반적으로 노래나 악기의 멜로디는 대화보다 피치(pitch일정 시간 내에 되풀이하는 횟수·능률·속도·상태)가 높고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왜 그렇게 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지만, 새베지는 음악이 말하기보다 예측 가능하고 규칙적인 이유 중 하나는, 음악이 사회적 연결을 재촉하는 역할을 담당해 왔기 때문이라고 고찰하고 있다.
75명의 연구자가 이 연구에 참여해 각각이 말하기와 가창(혹은 작곡)한 음성을 제공했다. 음악 연구의 동료들을 노래하게 하는 데 그다지 고생하지 않았다고 사베지는 말한다. 많은 연구자들이 노래하는 것을 좋아했고, 새베지는 이 희귀한 연구 데이터를 조사하는 것을 즐겼다.
「나는 그들의 노래와 말하기를 모두 스마트폰에 다운로드했습니다」라고 사베지는 말한다. 「걸으면서 때로는 셔플(shuffle, 발을 끌며 춤추는 것)하고 듣기도 합니다. 모두의 노래를 듣는 게 너무 좋습니다.」
사베지 자신은 영어 대화자의 대표로 Scarborough Fair를 불렀고 오자키는 도쿄 지역의 일본 민요인 오모리 진구를 불렀다. 연구에 참여한 많은 연구자들이 마오리어, 요루바어, 체로키어, 히브리어, 중국어(만다린), 아랍어를 비롯한 다수의 언어 녹음을 제공했다.
이 연구는 매우 넓은 범위를 커버하고 있으나, 하나의 언어나 음악 문화당 샘플 수가 적기 때문에 보다 상세한 연구가 필요하다.
사베지는 이와 병행해 오스트레일리아 국립대학(ANU)의 샘 패스모어등과의 연구 프로젝트에도 참가해, 거기에서는 「글로벌 쥬크 박스」를 사용했다. 이것은 5000곡 이상의 노래 데이터베이스로, 각 곡에 음악 양식이나 지리에 관한 정보의 주석이 붙어 있다. 연구팀은 이 글로벌 주크박스의 데이터를 서로 다른 지역의 유전적 혹은 언어의 다양성을 기록한 데이터베이스와 비교했다.
유전자와 언어의 분석은 인간사회가 세계에서 어떻게 진화하고 퍼져 나갔는지를 연구하는 데 자주 사용돼 왔다. 예를 들어 최근에 분기한 문화는 오래전에 분기한 문화보다 서로 더 비슷한 언어를 가진다.
음악도 언어나 유전자와 마찬가지로 시간에 따라 진화한다. 글로벌 주크박스 데이터베이스를 분석함으로써 최대 연구자인 패스모어는 과연 음악의 진화가 언어 및 유전자의 진화와 부합하는지를 밝혀내길 바라고 있다.
"음악의 역사는 종종 언어와 유전자의 역사로부터 괴리되어, 사회조직이라고 하는 다른 지표와 보다 일치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일이 있다는 것입니다"라고 파스모어가 ANU의 성명에서 말하고 있다.
이들 두 가지 새로운 연구는 음악이 세계 문화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언어와 겹치는 부분이나 다른 부분이 드러나기 시작했다. 현재 알고 있는 것은 음악과 언어는 분명히 복잡한 관계에 있다는 것이다.
(forbes.com 원문)
https://www.forbes.com/sites/evaamsen/2024/05/15/the-complex-connection-between-music-and-language-around-the-world/?sh=403001177cc7
By considering many different languages and music cultures, they could study how features of speech and music compare regardless of differences between languages or music styles. Across the board, they found that songs and instrumental melodies were slower and higher pitched than speech. Why this is the case is not yet clear, but Savage suspects that one of the reasons music is more predictable and regular than speech could be because it could act as a social bonding method.
*재미있거나 도움이 되셨다면 '구독' 꾹 눌러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늘 행복하세요.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누런 치아를 최소화하는 커피 마시기 방법은? (81) | 2024.05.24 |
---|---|
태평양의 해저 케이블이 중국의 수리선박에 의해 방해와 스파이 활동을 받을 우려가 있다고 미국 당국이 구글과 메타에 경고 (80) | 2024.05.24 |
지금까지 지구에서 태어난 인간의 수는 어느 정도일까? (95) | 2024.05.23 |
5400만 년 전부터 존재해 온 충치(蟲齒)를 마침내 인류가 극복할 수도 있어 (84) | 2024.05.23 |
인간의 체온이 1800년대부터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그 이유는? (70) | 2024.05.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