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짓말도 100번하면 진실이 된다는 게 진짜인가?
사람들의 생각을 지배하기 위한 기법 「프로퍼간다」에는 다양한 테크닉이 존재하고 있지만, 그 중의 하나로 「같은 내용을 몇번이나 반복해 말을 건다」라는 것이 있다. 반복해서 듣다 보면 왠지 모르게 '진짜일지도?'라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고, 어느새 그것이 진실이 되어 사람들이 믿는 상황이 정말 일어날 수 있는지 그 실제 모습을 연구한 내용에 대한 것이다.
예로부터 「거짓말도 100번 말하면 진실이 된다」는, 나치 요제프 괴벨스의 프로파간다를 말할 때 자주 인용되는 문구가 있고, 비록 잘못된 내용이라도 같은 것을 여러 번 접하는 사이에, 사람들은 머지않아 그 내용이 사실이라고 믿게 되고, 믿고 싶어하는 현상이 있다는 것이 다양한 연구에서 밝혀졌다.
이것은, 반복해 같은 것을 들음으로써 그 내용에 모종의 친밀감 같은 것을 품는 「단순접촉 효과」등에 의해, 본래의 올바른 내용과는 다른 잘못된 것이나 과장된 내용을 「옳다」고 생각하게 되는 「진리의 착오효과(Illusory trutheffect)」라고 하는 것으로, 정치인이 대중 앞에서 몇번이나 같은 연설을 함으로써 내용을 믿게 하거나 명칭을 연호하는 상품광고 등에서 이용되는 기법의 하나다.
그러나 실제 세계에서는 그렇게 단순하게 일이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려져 있다.
미국 테네시주 밴더빌트대학의 Lisa Fazio 교수 등의 연구팀은 나중에 주어진 새로운 정보로 인해 그 사람이 이미 알고 있던 지식이 어떻게 영향을 받는지에 대한 연구를 실시했다.
조사팀에서는 '옳고'과 '그름(틀린)' 한 쌍의 질문을 준비했고, 이들 질문이 어느 정도 '알려져 있는가'를 기준으로 두 그룹으로 나눠 실험을 했다.
예를 들어 실제로는 옳은 '태평양은 지구에서 가장 큰 해양이다'라는 질문은 '알려진' 쪽 그룹으로, 그리고 실제로는 틀린 '대서양은 지구에서 가장 큰 해양이다'라는 질문은 '알려지지 않은(혹시 알려져 있다)' 그룹으로 나눠 실험 참가자들에게 출제해 답변을 취합했다.
여기서의 결과는 알려지지 않은 그룹의 질문일수록 진리의 착오효과가 강하게 나타났다는 것이다.
이것은 즉, 사람은 사전에 지식이 있음으로 인해, 설사 잘못된 내용을 반복해서 듣게 된다고 하더라도 그 사람의 판단에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밝혀진 것이다.
연구팀은 또 질문을 '옳고 그름뿐만 아니라 그 옳음을 6단계로 평가하도록 하는 스타일의 실험을 병행했다.
그 결과 반복적으로 정보를 줌으로써 6단계 판정 결과가 높아지고 옳다고 인식되는 경향이 강해진다는 것도 알게 됐다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에서 연구팀은 비록 실제 내용이 옳든 틀리든, 알려졌든지 안알려졌든 간에 반복적으로 정보를 부여받음으로써 사람들은 그 내용을 믿게 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분명하다고 밝혔다.
이 결과를 BBC에 기고한 심리학자 Tom Stafford는 심리과학의 관점에서는 실제 숫자를 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Stafford에 따르면 Fazio 등의 연구팀이 밝힌 것은 답이 올바른 내용이었을 때 가장 큰 영향이 나타난다는 것이며, 아무리 반복을 해도 "옳은 것은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히고 실제로는 비록 반복이 있든 없든 사람은 잘못된 것보다 옳다고 생각하는 것을 믿는 것이라고 한다.
여기서부터는 반복하는 행위는 사람으로 하여금 진실하다라고 믿게 하는 힘은 있지만 원래 가지고 있는 지식을 넘어 쓸수는 없다라는 것이 밝혀지고 있다.
만약 반복 횟수만으로 사람들의 사고가 좌우된다면 세상은 힘들겠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하지만 동시에 사람들은 '추리·논리적 사고'의 힘으로 답을 이끄는 능력도 가지고 있지만, 거기에는 한계가 있음을 아는 것도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Fazio 등의 연구팀에 의한 논문은 아래의 링크를 통해 열람할 수 있다.
Knowledge Does Not Protect Against Illusory Truth
https://www.bbc.com/future/article/20161026-how-liars-create-the-illusion-of-truth
How liars create the ‘illusion of truth’
Repetition makes a fact seem more true, regardless of whether it is or not. Understanding the "illusion of truth" effect can help you avoid falling victim to this trick.
www.bbc.com
'시사, 경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억력을 부스트시켜 효율적으로 새로운 것을 배우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23.05.19 |
---|---|
잘못을 지적받으면 오히려 더 강하게 믿는 백파이어 효과(backfire effect)는 도시 전설이라는 주장 (0) | 2023.05.19 |
어떻게 하면 저항 없이 자신을 광고할 수 있을까? (0) | 2023.05.18 |
왜 모든 프로페셔널(전문가)이 블로그를 해야 하는가 하는 10가지 이유 (0) | 2023.05.18 |
한번 몸에 밴 나쁜 습관을 끊어 내려면? (0) | 2023.05.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