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녀평등이 실현될수록 여성은 과학과 수학의 길을 가리지 않는다는 연구결과
본문 바로가기
시사, 경영

남녀평등이 실현될수록 여성은 과학과 수학의 길을 가리지 않는다는 연구결과

by 소식쟁이2 2022. 7. 23.

남녀평등이 실현될수록 여성은 과학과 수학의 길을 가리지 않는다는 연구결과

미국에서는 컴퓨터 사이언스 학위를 취득하는 여성은 전체의 18%에 그친다. 반면 알제리에서는 과학·테크놀로지·엔지니어링·수학 분야에서 학위를 취득한 여성이 전체의 41%를 차지한다. 이 차이는 무엇에 의한 것일까? 이와 관련된 연구결과가 있어 정리해 보았다.

아래 그래프는 가로축이 STEM(과학·기술·공학·수학)인 학위를 가진 여성이 전체를 차지하는 비율로 세로축이 남녀 간 불균형을 나타내는 세계 남녀 격차 지수를 나타내는 것이다. 남녀 격차가 작은 핀란드에서는 STEM의 길을 선택하는 여성의 비율이 작고, 반대로 남녀 격차가 큰 알제리에서는 비율이 높으므로 여성의 「기회」가 작을수록 여성이 STEM 학위를 가지는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여성이 STEM 학위를 갖는 비율이 40%가 되는 알제리에서는 고용에 있어서 여성 차별이 크고 여성이 남편의 눈치를 봐야 하는 경우도 많다고 한다.

세계 남녀 격차 지수 그래프
세계 남녀 격차 지수 그래프

리즈베켓대학의 심리학자 Gijsbert Stoet과 미주리대학의 심리학자 David Geary가 발표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밝힌 것은 남녀 간 불평등이 큰 나라에서는 여성이 금전적인 자유를 얻을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고 과학기술 분야의 전문가가 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이다. 두 연구자가 세계 67개국 학생의 테스트 점수를 조사한 결과 많은 나라에서 여학생의 과학 성적은 남학생의 과학 성적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이었다고 한다. 대학 수준의 과학이나 수학에 대해서도 여학생은 문제없이 반을 수강할 수 있는 학력이 있었던 것이다.

한편 여러과목을 비교했을 때의 특기과목에 대해서 말하자면 남학생의 특기과목은 과학이었던 것에 대해서 여학생의 특기과목은 국어였다. 이 경향은 과학 점수의 여자 평균이 남자 평균과 같을 때에도 나타났다고 한다.

조사 대상 모든 나라의 여학생 가운데 자신이 가장 잘하는 과목이 국어라는 응답은 51%, 수학이라는 응답은 25%였다. 반면에 남학생에 대해서 말하자면 특기과목은 과학이라고 한 것은 38%, 수학이라고 한 것은 42%, 국어라고 한 것은 20%였다. 여학생이 특기 과목을 국어라고 답한 것에 대해서, Geary는 「적어도, 여학생의 기초적인 언어 능력의 어드밴티지가 관련되어 있다. 또 일반적으로 여학생은 독서에 대한 관심이 많아 더 많은 책을 읽고 독서의 경험을 쌓는다"라고 말했다.

또 여성의 힘이 센 나라에서는 여성이 '자신이 가장 즐기고 잘하는 것'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남녀 격차가 큰 나라일수록 STEM을 선택하는 여성이 많을 것이라고 연구자들은 가설을 세우고 있다.
다만 '인생 전체의 만족도'라는 점을 봤을 때 개발도상국에서는 학술 분야에서도 여성 차별이 크고 남녀 격차가 작은 나라가 만족도가 높았다고 한다.

'여고생에게 수학이 어렵다'는 편견은 여전히 뿌리 깊고 STEM 분야 고용에서 여성이 기피하기 쉽다는 것은 종종 문제가 된다. 그러나 연구자들 중에는 젠더에 있어서 STEM의 격차가 일어나는 것은 여성이 과학을 잘 못하기 때문에가 아니라 언어 능력의 높이에서 다른 특기가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는 STEM 학위를 취득하는 사람보다 수학이나 과학을 잘하는 여학생의 비율이 더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리버럴 사회조차도 과학과 수학을 잘하는 여학생을 과학과 수학의 길에서 밀어내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영국의 소설가인 버지니어 울프가 "여성이 예술을 창조하려면 정해진 수입과 한 사람의 시간이 필수적"이라고 말한 것처럼 여성의 직업선택에는 재정적인 안정이 필요한다. 그것을 획득해야만 경제적 이유가 아니라 열정을 바탕으로 직업을 선택할 수 있게 되는데, 꼭 그 열정이 과학이나 수학으로 향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도 기억해야 할 점이다.

The Gender - Equality Paradox in 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and Mathematics Education - Gijsbert Stoet, David C. Geary, 2018
http://journals.sagepub.com/doi/abs/10.1177/0956797617741719

The More Gender Equality, the Fewer Women in STEM-The Atlantic
https://www.theatlantic.com/science/archive/2018/02/the-more-gender-equality-the-fewer-women-in-stem/553592/?single_page=true

반응형

댓글